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25년도 최저시급 월급 & 연봉 환산시 얼마
    카테고리 없음 2025. 4. 9. 12:04

    2025년부터 최저시급이 드디어 1만 원을 넘어서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 근로자 입장에서는 시급 인상이 생활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궁금할 수밖에 없습니다. 특히 월급이나 연봉으로 환산했을 때 어느 정도 수준인지 알아두면 향후 취업이나 계약 협의 시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월급과 연봉은 얼마가 되는지, 또 실수령액은 얼마나 되는지를 차근차근 정리해보겠습니다.

    1. 2025년 최저시급의 월급 환산

     

    2025년 최저시급은 10,030원입니다. 주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할 경우 여기에 주휴수당을 포함한 주당 총 근로시간은 48시간이 됩니다. 이를 월 기준으로 환산하면 평균 근로시간은 약 209시간 정도로 계산됩니다.

     

    따라서 2025년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한 월급은 10,030원에 209시간을 곱한 약 2,096,270원이 됩니다. 이는 주휴수당이 포함된 금액이며, 기본적인 근로 조건에 따른 계산입니다. 정규직 근로자라면 이 금액이 기본급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     

    2. 2025년 최저시급의 연봉 환산

     

    월급이 계산되었으니 이제 연봉으로 환산해볼 수 있습니다. 기본적으로 연봉은 월급에 12개월을 곱해 산정합니다. 월 2,096,270원을 12개월로 계산하면 연봉은 약 25,155,240원이 됩니다.

     

    이 수치는 연차수당이나 상여금 등 부가적인 급여 항목이 포함되지 않은 기본적인 연봉입니다. 따라서 단순히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정규직으로 1년간 근무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으로 보면 됩니다. 실제 연봉 협상 시에는 추가 수당 여부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.

    3. 주휴수당의 이해와 계산 방법

     

    최저시급 계산에 있어 빠질 수 없는 개념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. 주휴수당이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한 주를 성실히 개근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휴일에 대한 수당입니다. 이 수당이 포함되어야만 최저임금 기준에 맞는 월급이 산출됩니다.

    주휴수당은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8시간 분의 시급을 더해 계산하게 됩니다. 따라서 주휴수당은 10,030원 곱하기 8시간으로 약 80,240원이 됩니다. 이를 포함해 주당 48시간 기준으로 월급이 계산되며, 주휴수당을 받지 못하는 단기 알바나 시간제 근로자의 경우 월급이 더 낮아질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4. 실수령액은 얼마일까?

     

    지금까지 계산한 월급과 연봉은 세전 금액으로, 실제로 받는 실수령액은 각종 세금과 4대 보험료 등을 공제한 후의 금액입니다. 일반적으로는 총 급여의 약 12% 내외가 공제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이를 바탕으로 월 실수령액을 계산하면 약 1,830,000원 정도가 됩니다. 물론 개인의 공제 항목이나 가족 상황에 따라 실제 공제액은 다를 수 있습니다. 연봉 역시 공제 후에는 약 2,200만 원대 중후반 수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월급명세서를 받아보기 전까지는 예상 실수령액을 여유 있게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.

     

    2025년 최저시급은 처음으로 1만 원을 넘긴 10,030원으로 확정되었고, 이를 기준으로 환산한 월급은 약 209만 원, 연봉은 약 2,515만 원 수준입니다. 여기에 주휴수당과 세금 공제 등을 함께 고려해야 실질적인 수입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습니다. 앞으로 취업을 준비하거나 급여 협상을 앞둔 분들이라면 이 기준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Designed by Tistory.